분산 처리 환경에서 대용량 트래픽을 견디기 위한 로그인 기능 구현-2. 여러 대의 서버에 흩어져 있는 세션을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까?
2. 여러 대의 서버에 흩어져 있는 세션을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까? 저번 글에서는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 가지 방법, Scale Up과 Scale Out에 대해 알아보았다. 각기 다른 장단 점이 있었지만 여러가지 측면에서 내가 진행하고 있는 SNS 서비스 구현 프로젝트에 더 적합한 방법은 Scale Out이었다. Scale Out을 선택하면 로드밸런싱을 통해 부하를 여러 대의 서버로 분산 처리를 해야만 한다. 이 과정에서 고민거리가 하 나 더 뒤따른다. 바로 데이터 불일치다. 분산 서버 환경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불일치 대부분의 웹 서비스는 stateful한 서비스다.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세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. 그러나 분산 서버 환경에서 이를..
Java/▶-----it;da
2020. 8. 24. 11:41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Django 회원 정보 수정
- Django application
- MySQL
- Redis
- Django 로그아웃
- java
- 서점 어플리케이션
- Redis Cache
- Django 해시태그
- Django
- Django 인스타그램
- Django 댓글
- query parameter
- Django 어플리케이션
- Django 컬렉션
- Django 프로젝트 생성
- 장고
- Django User
- python
- 북마크 어플리케이션
- Django 검색
- Django 회원가입
- Django 좋아요
- Django 팔로우
- Django Instagram
- Django 업로드
- Django 북마크
- Django 비밀번호 수정
- Django 로그인
- 파이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